서민들 허리 휘청...새해 벽두 생필품, 공공요금 줄줄이 인상

기사입력 2017.01.04 22:38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 맥주·라면·계란 등 물가 들썩…정부 대책은?
- 서울·부산 등 지자체도 공공요금 올려…소비위축 불가피



[선데이뉴스=김명균 기자]새해 벽두 들어 쓰레기 봉투와 대중 교통비 등 공공요금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경기불황에 물가까지 오르면서, 서민들의 한숨만 더욱 깊어졌다.

 맥주·라면·계란 등 생필품 가격에 이어 상하수도·지하철 등 공공요금마저 줄줄이 인상되며 서민들은 한숨만 내 쉬고있다. 이런 생필품을 비롯한 공공요금의 인상으로 가뜩이나 내수침체로 얇아진 지갑이 설 대목을 앞두고 팍팍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쓰레기봉투를 사러 마트에 들른 고객들은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했다. 지난해 말 가격 인상 소식에 사재기로 쓰레기봉투가 동이 나 버렸기 때문이다.

서울 18개 구는 20리터 쓰레기 봉툿값을 440원에서 490원으로 올렸다. 제주도는 40% 올렸고, 세종시는 오는 7월 60%가량 인상할 예정이다.

대중교통 요금도 꿈틀대고 있다. 인천과 대구는 각각 광역버스와 시내버스 요금을 150원씩 인상했다. 부산-김해 경전철도 다음 달부터 요금이 100원 오른다.

또한 하수도 요금도 서울이 10%, 경기도가 최대 67%까지 오릅니다. 서울시는 20년째 동결했던 공영주차장 요금까지 인상을 검토 중이다.

이렇게 최근 라면과 계란 값이 오른 데 이어,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새해 들어 서민 경제의 주름살은 더욱 깊어지고만 있다.

 

갑작스런 생필품 가격인상에 정부도 당혹스러운 모습이다. 설 대책은 아직 수립 전인데 물가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면, 소비위축까지 겹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순실 게이트 이후 국정공백을 틈타 기습인상한 라면과 맥주도 넋놓고 바라보며 정책 타이밍을 놓쳤다. 11월부터 역대 최고 살처분을 갈아치운 산란계는 계란값 상승으로 이어지며 설 물가에 비상이 걸렸으며 정부는 이런 물가를 잡을 여력조차 없는 것이다.

급기야 정부는 어제(3일) 계란값 안정 대책을 내놓으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정부 대책이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상황에도 대책마련에 주저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물가 상승이 1%대에 머물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계란처럼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 업계의 가격 인상에 개입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에 가격이 오른 제품의 경우 그동안 줄곧 인상하지 않았던 측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물가 수준이 1%대에 머물러 현재 상승추이가 소비심리에 반영되는 부분은 미미하다고 본다. 좀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부정청탁금지법으로 외식·농축수산물 업계 등이 설 대목을 앞두고 매출이 급감한데다, 계란·식용유 등 기본 식재료 상승을 물가 지표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계란이나 식용유는 빵이나 튀김, 치킨 등 각종 완제품을 위한 식재료다. 이 제품의 가격이 오르면 완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진다”며 “정부가 지표에 의존하면 악화되는 실물경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는 상반기에 경기부양을 하지 못하면 어려워진다는 절박함이 있다. 물가가 상승할 조짐이 있으면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장기화로 계란값 안정에 뒤늦게 조치한 사례를 볼 때 1분기 물가를 어떻게 잡느냐가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숙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명균 기자 gyun3514@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www.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