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로 이용웅 칼럼] 한민족의 ‘본국검(本國劍)’과 ‘황창무(黃倡舞)’

기사입력 2017.09.10 09:24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靑魯 李龍雄 석좌교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선데이뉴스신문/논설고문/한반도문화예술연구소 대표/
[선데이뉴스신문=이용웅 칼럼]북한에는 ‘검도’가 없고 ‘칼쓰기’가 있습니다. 북한에서 발간된 사전들을 보면, ‘검도’를 “일제 때, 앞이 보이게 만든 탈 같은 것을 얼굴에 쓰고 갑옷 비슷한 것을 가슴에 대고 참대로 만든 칼로 몸의 일정한 부분을 치거나 찔러서 이기고 짐을 겨루는 경기”(<조선말사전>,66쪽)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검도(劍道)=격검’이라고 하고, 그 ‘격검’을 “긴 칼을 가지고 일정한 시간 안에 상대방의 몸의 일정한  곳을 빨리 찌르거나 베는 정도에 따라 이기고 짐을 겨루는 경기.”(<조선말대사전(1)>,14쪽)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국검(조선 사진 자료)북한의 <조선대백과사전(1)>은 ‘격검경기’를 “18세기 중엽부터 격검이 완전히 경기화 되였으며 경기에서 보호면이 리용되고 검 끝에 단추를 붙여 안전성이 보장되게 되였다. 격검경기는 1896년 제1차 올림픽경기대회 때부터 정식 올림픽종목으로 되였다.”(619쪽)라고 했습니다. 여기서의 ‘격검’은 ‘펜싱’을 말합니다. 현재 북한에는 ‘펜싱’만 있고, ‘검도’는 없습니다. 검도’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다만 사전에서 ‘검도장’(“검도훈련을 하도록 마련되여 있는 장소”), ‘검도복’ (“일본에서, 검도를 할 때 입는 옷”)을 발견할 수 있을 뿐입니다.

 

북한엔 ‘칼쓰기’라는 용어는 존재합니다. 북한의 <조선의 민속전통 5>의 ‘민속놀이’편을 보면, “칼쓰기는 삼국시기의 고구려무덤들의 벽화를 통하여 생동한 장면을 엿볼수 있다...리조 시기 무기로 사용된 칼을 크게 나누어보면, 긴 칼(장검)과 짧은 칼(단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 시기 구체적인 칼 종류는 6가지가 있었는데 그것은 예도, 제국검, 본국검, 쌍도, 월도, 협도 등 이였습니다. 예도는 칼날의 길이 3자 3치, 자루의 길이 1자로서 우리 나라 봉건시기 칼 가운데서 칼날의 길이가 제일 긴 것이였다. 제독검과 본국검은 예도와 비슷하였다...칼쓰기의 구체저인 방법은 <교전총도>, <예도총도>, <제독검총도>, <본국검총도> 등으로 구분하여 그린 몇 십 가지의 전법에 대한 그림에 전하여온다.”(75~76쪽)고 기술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체육출판사가 펴낸 <동방격투술 이야기>에 기술된 “우리 나라 중세무술체육”에는 ‘칼쓰기’가 빠져 있습니다. 이 장(章)에선 ‘활쏘기ㆍ창쓰기ㆍ격구ㆍ힘쓰기와 달리기ㆍ돌팔매ㆍ합전 (合戰)과 사냥경기’만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이상한 점이 발견됩니다. 104쪽과 105쪽에 [그림 24. 칼쓰기동작(<무예도보통지>중에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검도복’을 “일본에서, 검도를 할 때 입는 옷”이라고 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북한에 ‘검도’가 없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조선의 민속전통 6>의 ‘민속 무용’편을 보면, “신라사람들이 창조하고 발전시킨 민속무용가운데는 또한 탈을 쓰고 칼을 휘두르면서 추는 ‘가면검무’가 있었다.  ‘가면검무’의 유래는 황창의 얼굴을 본 딴 탈을 쓰고 긴 칼을 비껴들고 추는 ‘황창무’와 결부되여 있다. 기록에 의하면 황창랑이 나이 열일곱살 때 백제에 들어가서 저자에서 칼춤을 추었더니 구경군들이 담을 쌓을듯이 많았다. 백제왕이 이 소문을 듣고 그를 불러다가 왕앞에서 칼춤을 추게 하였는데 황창이 왕을 찔렀으므로 그 나라 사람들이 그를 죽이였다. 신라사람들은 그를 슬퍼하면서 황창의 얼굴을 형상한 가면을 만들어 쓰고 칼춤을 추는 장면을 형상하였는데 지금까지 전한다.(<동경잡기>권1 풍속)고 하였다. 실화적 인물과 결부되여 있는 신라의 가면검무는 무사의 숙련되고 대담한 검술을 보여주는 군사무용의 하나로서 그후, 고려, 리조 시기까지 전승되면서 주로 남해안지방에서 많이 추어졌다.”고 기술했습니다.

 

평양의 문예출판사가 펴낸 <조선민속무용>은 다산 정약용(1762~1836) 의 <칼춤>을 소개하면서, 이 시에 나오는 ‘진주성안’은 “지난 시기 전라도의 큰 성”, ‘보라빛쾌자’는 “지난 봉건사회 때 군대들이 입던 겉옷, 소매는 없고 두루마기처럼 길다. 보랏빛 쾌자는 보랏빛갈의 쾌자”, ‘푸른색전립’은 “지난 시기 군대들이 쓰던 모자, 벙거지, 푸른빛갈의 전립”라고 주석(104쪽)을 달았습니다. 그리고 “짧은 ‘칼춤’은 고구려의 전투적인 칼춤의 전통을 이었으며 전기 신라 때 류행되였던 ‘황창무’ 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수 있다. 특히 시 <칼춤>에도 있는바와 같이 ‘황창무’의 수법을 전하고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황창무’의 호탕하고 힘있는 률동과 실전과도 같은 칼싸움수법이 보존된 것으로 보여진다. 칼자루 목을 마음대로 돌릴수 있는 이 ‘칼춤’은 리조시기에 생겨난 것으로 짐작한다.”(105쪽)고 기록했습니다.
본국검(조선 사진 자료)

남한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보면, 제10권에 ‘본국검(本國劒)’을 그림 ‘본국검<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본국검 32가지 기본동작’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1권의 ‘검도(劍道)’에서 “우리나라 본국검은 신라 때부터 화랑에 의하여 전수되었다 하여 신라검(新羅劍) 또는 신검(新劍)이라 일컫는다. 고려 말기의 화약발명과 조선시대의 천무사상(賤武思想)으로 쇠퇴하였다가 임진왜란 뒤 훈련도감을 설치하고 군사훈련을 시작함으로써 되살아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정조 때 편찬한 <무예도보통지>의 24반무예 중 본국검 수련이 있음을 보아 알 수 있다. 그 뒤 고종 때에 이르러 구미식 군사훈련을 개시한 뒤 자취를 감추었으나, 1896년 경무청에서 경찰훈련과 육군연무학교의 군사훈련과목에 검술과목이 채택되면서 일본식 검도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777쪽)고 풀이했습니다.

 

그리고 위 백과사전 제1권의 ‘검도’에 대한 설명(777쪽)에는 “광복 후 검도는 일제의 잔재라고 인식되어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나 1948년 6월 3일 재경유단자(在京有段者)들이 모여 대한검사회(大韓劍士會)을 조직 명맥을 유지...1953년 11월 20일 대한검도회(大韓劍道會)의 창립과 동시에 대한체육회에 가입...”이라는 문장도 함께 쓰여 있습니다. 남한은 해방 후 우리의 민족무예인 ‘본국검’을 외면, 아니면 무지(無知)해서  일본식 검도를 대한체육회 종목으로 채택했던 것입니다.

 

김일성 부자(父子)등  북한의 권력자들이 ‘본국검’을 알 턱이 없습니다. ‘검도’하면 ‘일본 검도’만 생각했을 것이 틀림없습니다. 북한은 ‘일본 것’하면 대부분 ‘거부’ 합니다. 그래서 사전에서도 ‘검도’를 삭제한 것입니다. 오늘이라도 북한의 수장(首長) 김정은(국무위원회 위원장)이 핵(核)을 포기하고, 앞의 북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다면, ‘본국검’에 큰 관심을 가질 것이 분명합니다.

 

‘본국검’은 우리 민족의 자랑이며 큰 문화유산입니다. 그런데 남한 사회에선 이 귀중한 무형문화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북한 땅에선 매몰되어 있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습니다. 앞으로 남한에서 ‘본국검’을 발굴하고 발전시켜온 본국검사(本國劍士)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꾸준히 더 더욱 정진한다면, 머지않아 남한과 북한의 민족무예 검객들이 한 자리에서 본국검술을 겨루고, 한민족의 고유한 춤인 ‘황창무’을 남과 북이 하나가 되어 진정한 민족무예로 승화시키게 될 것입니다.

靑魯 李龍雄
석좌교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선데이뉴스신문/논설고문/
한반도문화예술연구소 대표/

[이용웅 기자 dprkculture@hanmail.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www.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