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로 이용웅 칼럼] 조선의 민속명절 한가위와 류태영의 사랑편지-秋夕

기사입력 2019.09.12 18:56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필자의-2019년-추석-인사-카드.jpg
이용웅 교수(필자)의 2019년 추석 인사 카드.

 

[선데이뉴스신문=이용웅 칼럼]추석(秋夕)! 오랜 세월 ‘추석’은 ‘한민족의 명절’로 대접 받아왔으며, 그러다보니 아주 많은 사람들이 글로 쓰고 말로 이야기해 왔습니다. 그런데 세월 흐르며 점점 추석에 대한 글과 말은 빛을 잃어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추석이란? 하고 물어보면 그냥 ‘민속명절’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번 추석에는 북한의 “조선의 가을철 민속명절-한가위”(조선중앙통신)과 남한의 “류태영의 사랑편지-추석(秋夕)”을 중심으로 요약해서 정리해 봅니다.

 

[평양 9월 14일발 조선중앙통신] 한가위(추석)날은 조선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가을철의 민속명절로서 민족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다. 조선인민은 오래전부터 음력 8월 보름날을 《가위날》, 《한가위》라고 하면서 명절로 쇠여 왔다. 《가위》는 좋은 때(가을의 중간)라는 뜻이고 《한》은 《큰》, 《모든》, 《많은》이라는 뜻을 가진 고유한 조선말이다. 그러므로 한가위를 《가을중의 가장 아름다운(좋은) 때》라는 뜻에서 《중추가절》이라고도 하였다.

 

사진-출처-북한의-민속명절-추석-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2019.-9.-4.jpg
사진 출처-북한의 민속명절 추석-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2019. 9. 4.

 

한가위와 관련한 민속풍습에서 중요한 것은 조상의 묘를 돌아보고 추모하는 것이다. 한가위날에 햇곡식으로 성의껏 음식을 만들어가지고 묘를 찾아가 봉분 우에 자란 잡초를 베고 장마비에 씻겨 내린 곳을 손질하였으며 주위를 깨끗하게 거두고 례의를 표하였다. 이것을 《성묘》, 《산소보기》, 《묘보기》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풍습은 예로부터 조선민족의 아름답고 고상한 례의범절에서 나온것이다. 이날에 만들어먹은 명절음식에서 대표적인 것은 송편이며 설기떡, 노치, 밤단자 등도 있었다.   

 

여러 가지 민속놀이들도 하였다. 녀자들은 경치좋은 곳을 골라 나무에 그네를 매여놓고 뛰였고 남자들은 강가의 모래밭이나 잔디밭에 씨름판을 벌려놓고 힘을 겨루었다. 이밖에도 바줄 당기기, 널뛰기, 활쏘기와 같은 민족경기들과 길쌈놀이, 소놀이, 거북놀이, 가마놀이와 같은 민간오락들도 많이 하였다. 한가위날의 명절놀이에서 성황을 이룬 것은 달구경이였다. 보름날에 은백색의 큰 달이 떠오르면 사람들은 조용히 마음속소원을 외웠으며 소박한 꿈이 담긴 노래도 불렀다. 이날의 달구경은 추위 속에서 바라보던 정월대보름의 달맞이보다 더 정서가 깊고 여유있는 것이였다.” (이상-조선의 가을철 민속명절-한가위)

 

위 “조선의 가을철 민속명절-한가위”를 읽어보면, 남과 북이 별 차이가 없습니다. 아닙니다! 북한의 <조선의 민속전통(1)>(105쪽)은 ‘추석’에는 “햇곡식으로 지은 여러 가지 음식을 가지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가족, 친지, 이웃이 모여앉아 음식을 나누면서 즐기었다.”고 했습니다. 과거에는 그랬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생일이 “민족 최대의 명절”이고, “조상에게 차례”도 보통 가정에선 ‘고릿적’(썩 오래된 옛날의 때) 얘기입니다.

 

북한의-추석-평양시민들의-추석-성묘.jpg

 

북한에는 “국가적 명절”과 “민속명절”이 있습니다. 국가적 명절은 “나라와 민족의 발전에 매우 의의 깊고 경사스러운 날”로서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과 김정일의 생일인 ‘광명성절’과 함께 민족 최대의 명절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민속명절은 민족적 전통으로 지켜 오는 명절이며 여기에는 양력설, 음력설, 대보름, 청명, 추석이 있습니다. 북한의 민속명절은 1967년 “봉건잔재를 뿌리 뽑아야 한다”라는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모두 철폐되고 양력설 하나만을 인정했었습니다. 그러나 1972년 남북 대화 이후 추석 성묘를 허용하면서 전통 명절이 부활하기 시작해 1989년에는 음력설, 한식, 추석 등을 민속명절로 지정하였습니다.

 

[류태영의 사랑편지-秋夕]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합니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운데’라는 뜻입니다. ‘가운데’는 ‘갑다’의 어간 ‘갑’과 관형사형 어미 ‘‘’과 ‘’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변화하는 과정에서 ‘가’가 되고, 그걸 음차표기하면서 ‘가배(嘉俳)’라는 말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가’는 다시 ‘가위’로 변형되어 ‘한가위’가 됩니다.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합니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께까지 부는 바람을 "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합니다. 이로써 미루어 볼 때 가뷔·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하는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정(正)가운데란 뜻이니, 정 중심(正 中心)을 우리가 '한가분데' 또는 '한가운데'라고 하듯이 '한'은 제일(第一), 큰(大)의 뜻 이외에도 한(正)의 뜻이 있음도 알 수 있습니다.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中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입니다.

 

한가위의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신라 제3대 유리왕(儒理王) 9년(서기 32년)에 왕이 6부를 정하고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여 두 패로 가른 뒤, 편을 짜서 7월 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하는데, 밤늦게야 일을 파하고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살펴 가지고 지는 편은 술과 밥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사례하고, 이에 온갖 유희가 일어나니 이것을 이를 가배(嘉俳)라 한다."고 하였고, 또 "이때 진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면서 탄식하기를, ‘회소회소(會蘇會蘇)’라 하여 그 음조가 슬프고 아름다웠으므로 뒷날 사람이 그 소리로 인하여 노래를 지어 이름을 회소곡(會蘇曲)이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仲秋佳節(중추가절):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故鄕 그리고 鄕愁”(필자의 2019년 추석 인사 카드) // 올 추석 연휴 알차게 보내시고, 가을의 기도도 읊어보세요! / “주여 어느덧 가을입니다/ 지나간 여름은 위대하였습니다/ 태양 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눕히고/ 광야로 바람을 보내 주시옵소서”(Rainer Maria Rilke/1875~1926/ 가을날)

 

20190501100102_d97be04a749428e38150f96c98b8e259_8bcw.jpg

靑魯 李龍雄/ 석좌교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선데이뉴스신문/논설고문/
한반도문화예술연구소 대표

[이용웅 기자 dprkculture@hanmail.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www.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