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러시아 경기침체 장기화되나’

기사입력 2013.05.19 19:21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LG경제연구원 Logo 
 

 미국발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았던 자원대국 러시아 경제가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장기침체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제유가가 상향 안정된다는 가정 하에 금리인하, 임금인상 등경기부양책이 도입되는 시나리오에 따르더라도 3% 성장은 힘들 전망이다.

지난 1분기 GDP 1.1%의 저성장에 그쳐

최근 러시아 경제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0년 이후 등락을 거듭하던 분기별 성장률은 2011년 4/4분기에 5.1%의 고점을 찍은 뒤 5분기 연속 하락해서 지난 2013년 1/4분기 실적은 전년동기대비 1.1%에 그쳤다. 하루빨리 성장률 반등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 당초 목표치인 2013년 연간 3.6%는 커녕 수정 전망치인 2.4% 성장도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 2007년 호황기까지 러시아 경제는 세계경제 성장률을 웃도는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계기로 성장 활력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중반까지 러시아를 위시한 BRICs 경제권은 세계경제 성장을 견인했고, 자원대국 러시아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증가의 혜택을 입었다. 그렇지만 지난 2009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0.6%를 기록할 당시, 글로벌 수요침체의 충격으로 러시아 경제는 -7.8% 폭락했다. 이후 2010년부터는 러시아 경제성장 패턴이 BRICs의 상대적인 고성장세와는 거리가 멀어졌고 침체기의 브라질보다 낮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자원의 저주 엄습

세계경제의 호황기와 침체기에 뚜렷이 명암을 달리하는 러시아 경제는 자원의존적 경제구조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원유 및 석유류 제품은 러시아 수출의 68%를 차지하는 주력제품이고 원유 및 관련 산업 규모가 GDP의 30%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국제유가(우랄산 원유기준)의 변동이 경제성장률에 곧바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특히 2011년 3/4분기 이후 국제유가 상승폭이 꺾이고 2012년 2/4분기에는 마이너스 7% 가까이 유가가 하락하면서 2012년 무역수지와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유가하락의 여파는 곧바로 수출감소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무역흑자액은 지난 2011년의 1,634억달러에서 2012년에는 1,471억달러로 감소했다.

금년 1/4분기에도 수출증가율은 -2.7%를 기록하여 경기침체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 더욱이 최근 수출의 감소는 일시적 유가 변동에 기인하기 보다는 선진국의 경기부진에 따른 수요감소와 대체재 성격의 미국산 셰일가스 증산 등 구조적 측면의 영향을 받고 있어 빠른 시일 내 회복이 어려울 전망이다. 현재 배럴당 110달러대의 우랄산 국제유가가 계속 100달러 이상으로 유지된다는 가정을 전제하더라도 러시아 경제가 3%대 성장세를 회복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투자부진으로 미래 성장 불안

GDP 지출 측면에서 봤을 때 미래 성장 전망이 밝지 않은 것도 문제이다. 미래성장의 주요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투자비중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고정투자의 GDP 비중은 지난 2011년의 24.6%에서 2012년 상반기에는 20.7%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에 정부지출 비중이 2.1% 포인트 늘었다는 것은 투자에 의한 성장 능력을 확충하기 보다는 푸틴 대통령의 재집권을 위한 경기부양 차원의 지출이 늘었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GDP의 생산요소비용 측면에서 살펴보게 되더라도 투자 연관성이 높은 제조업을 위시한 2차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상반기에는 2011년에 비해 2차산업 비중이 1.1% 포인트 줄어든 반면 서비스업은 3.2% 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GDP 구조의 변화는 개도국형 투자-제조업 중심의 고성장 확대 국면이 러시아에서는 유효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

제조업 투자비중 하락

투자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는 외국인직접투자의 미약한 회복이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본격화되기 직전인 지난 2008년에 752억달러에 달했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은 이듬해 366억달러로 급락했다가 회복세를 보였지만 지난 2012년에는 514억달러에 그쳤다.

투자금액이 늘어나지 않는 문제에 더해 제조업 비중이 낮아지는 것도 반갑지 않은 대목이다. 외국인직접투자의 업종별 랭킹을 살펴보면 최근 몇 년간 변화가 발견된다. 지난 2010년에는 제조업 투자비중이 22.6%로 가장 높고 이외에도 기초금속 및 가공(11.0%), 광업(8.7%) 등이 상위에 랭크됐다. 이에 비해 2012년(1~9월)에는 산업인프라 형성과 직접 관련성이 떨어지는 도소매와 금융이 전체의 5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아진 반면 제조업과 광업의 비중은 낮아졌다.

외국인직접투자를 통해서 글로벌 제조업체의 자본에 더해 기술력이 전파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 경제에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경기부양대책 시급해져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회복을 위한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다. 지난해 대통령선거 당시 공약으로 내세웠던 임금 인상, 고용확대 등이 앞당겨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푸틴 대통령은 소득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오는 2020년까지 근로자 월 평균임금을 4만루블(한화 142만원)로 인상할 것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지난 해 5월부터 임기를 시작한 푸틴대통령은 63%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던 만큼, 집권 2년차에 경기침체를 좌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임금인상과 정부지출 확대 등으로 소비활력을 찾게 되면 2분기부터는 3%대에 근접하는 성장률 회복이 이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가능하다.

상저하고(上低下高)로 특징지어지는 2013년 세계경제 성장 시나리오에 입각해 보더라도 러시아 경제는 지난 1분기에 최악의 침체기를 겪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반기부터 글로벌 수요부진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러시아의 WTO 가입효과가 나타나면 수출부문이 회복되면서 경기가 나아질 수 있을 것이다.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더해 금리인하 정책이 동반되면 경기침체 탈피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됐다. 투자부진과 내수침체에 대응하여 러시아 정부가 내놓을 수 가장 유력한 정책카드가 금리인하이기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지난 1분기 1%대 저성장과 향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을 표시한 것은 경기부양 대책의 정당성을 역설하기 위한 사전포석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의 재할인율은 지난 2012년 9월에 0.25% 포인트 인상된 8.25%의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당시 소비자물가가 2012년 상반기에 3.8%에서 안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6%대로 상승함에 따라 금리가 전격 인상됐다. 최근 물가 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 지난 2013년 4월 물가는 7.2%로 전월에 비해서 다소 오르고 안심할 수준은 아니어서 중앙은행이 지난 5월 15일에도 기준금리를 8.25%에서 동결했다. 슈발로프 부총리도 물가안정을 염두에 두고 금리인하와 같은 인위적 경기부양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기본 입장을 밝혔다.

오는 6월부터 중앙은행 총재가 엘비라 나비율리나로 바뀌면 금리정책도 완화 기조로 바뀔 가능성이 여전히 점쳐지고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5월 물가가 중앙은행이 안심할 수준의 6%대를 기록하지 못한다면 금리인하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것이다.

이번 5월의 금리 동결이 시사하듯이 물가불안 우려가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양상이다. 내부적으로 경제왜곡을 최소화하는 경기부양책의 묘수가 시급히 찾아지지 않는다면 성장률이 더욱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LG경제연구원 강선구 연구위원]
 
[박성철 기자 maitres13@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www.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