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리 광복군’ 선열 17위...국립묘지 이장 절차 11일 시작

기사입력 2022.08.10 17:14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광복군 묘소.JPG

 

[선데이뉴스신문=정재헌 기자]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소에 안장돼 있는 백정현(’91년, 애국장), 현이평(’95년, 애국장), 김찬원(’91년, 애국장) 지사 등 한국광복군 선열 17위를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이장하는 절차가 11일(목) 부터 14일(일)까지 진행된다.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10일 “조국독립을 위해 일제에 맞서 싸우다 대부분 20~30대의 젊은 나이에 전사, 순국한 ‘수유리 광복군’ 선열 17위에 대한 국립묘지 이장이, 11일 오전 서울 수유리 북한산국립공원 내 한국광복군 합동묘소(서울 강북구 수유4동 산127-1)에서 묘소 개장과 영현 수습을 시작으로 본격 추진된다”고 밝혔다.


이번 ‘수유리 광복군 합동 이장’은 정부가 조국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후손 없는 광복군 선열들을 국민과 함께 기리고,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기 위해 직접 추진한 첫 사례이다.

현재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소에 안장된 광복군 선열 중 백정현(’91년, 애국장) 지사는 1942년 10월, 광복군 제2지대 제3구대 소속으로 석가장에서 정보수집 활동 중 체포된 뒤, 중국 북경(北京) 감옥에서 옥고 중 탈옥을 시도했지만 실패하면서 총살을 당했다. 


또한, 김찬원(’91년, 애국장) 지사는 1941년, 광복군에 입대하여, 제2지대 소속으로 산서성 태원(太原)지역에서 지하공작 활동을 하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순국했다.


1939년 중국 산서성 서안(西安)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참여하여, 공작대원 모집과 일본군 후방 교란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광복군에 편입되어 활동하다 1941년 1월 피살된 현이평(’95년, 애국장) 지사를 비롯한 김유신(’91년, 애국장) 이해순(’91년, 애국장) 문학준(’91년, 애족장) 지사 등의 유해 17위가 수유리 합동묘소에 안장되어 있다.

광복군 일정.JPG


이처럼, 조국독립을 위해 온몸을 바쳤던 광복군 선열들이 광복 후 국립묘지가 없고, 후손들이 없어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못하다 77년 만에 국립묘지(국립대전현충원)로 안장되는 것이다.


본격적인 국립묘지 이장 절차가 시작되는 11일(목), 묘소 개장에 앞선 오전 6시부터는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회장 이형진) 주관으로 약 30분 간 산신제와 위령제 등 의식행사를 진행한다.


이후 광복군 합동묘소를 개장한 뒤, 국내 상·장례 전문가와 함께 광복군 선열 17위의 영현을 수습하고, 수습된 영현은 국방부 의장대가 소관(작은 관)을 태극기로 관포하는 등 운구를 준비한다.


의식행사부터 영현을 관포하기 까지는 약 8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운구 준비가 마무리되면 오후 2시 40분,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이 국방부 의장대와 함께 관포에 쌓인 영현(소관)을 광복군 합동묘소에서 북한산국립공원 수유분소(서울 수유동 산73-1)까지 직접 운구한다.


박민식 처장을 선두로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소를 출발, 북한산 산기슭 약 330미터를 도보로 운구(약20분 소요) 한 뒤, 북한산국립공원 수유분소 앞 준비된 차량으로 운구하면 수유리에서의 절차가 마무리 된다.


운구 차량은 수유분소에서 15시에 출발, 경찰의 호위(에스코트)를 받으며 국민의 문화공간으로 거듭난 광화문 광장을 지나 서울현충원에 도착(16시), 현충관에 임시 안치되는 것으로 첫 날 일정이 마무리된다.


수유리 광복군 선열들이 임시 안치되는 서울현충원에는 현재 광복군 총사령 지청천 장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을 비롯해 광복군 선열 41위가 안장되어 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77년 전, 우리 민족이 36년간 이어진 어둠을 걷어내고 조국광복의 찬란한 역사를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어떤 고난과 불의에도 굴하지 않고 기꺼이 목숨을 바치고 피를 흘리셨던 독립영웅들이 계셨기 때문”이라며, “이 분들을 끝까지 책임지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인 만큼, 수유리 광복군 선열들의 위국헌신을 가슴 깊이 새기고, 최고의 예우로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소는 지난 1961년 조성된 뒤, ‘한국광복군 선열 묘지 건립준비위원회’에서 1967년 4월 28일 ‘광복군 선열의 묘’ 비석 제막식을 거행한 후, 4월 28일 수유리 합동묘소에서 ‘광복군 정기 총회’를 개최했었다.


특히, 국가보훈처는 ‘수유리 광복군’ 선열들의 국립묘지 이장 후에도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소‘에 표지석을 설치하는 등 한국광복군의 상징적인 장소가 될 수 있도록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정재헌 기자 csn8013@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www.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