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건 ]
강기윤 의원,“매년 증가하는 뇌졸중 환자 정부 예방 홍보예산 0원”
강기윤 의원,“매년 증가하는 뇌졸중 환자 정부 예방 홍보예산 0원”
[선데이뉴스신문=신민정 기자] 국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경남 창원시 성산구,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은 뇌졸중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뇌졸중 관리에 필요한 예산은 편성조차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강기윤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에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15년 53만 명, △2016년 57만 △2017년 57만 △2018년 59만 △2019년 61만, △2020년 59만 명으로 거의 매년 증가했고, 현재 한해 평균 60만 명이 뇌졸중 진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초기 대처에 중요한 뇌졸중 관리에 필요한 홍보예산은 한 푼도 편성되지 않고 있다. 강기윤 의원은“우리나라는 우수한 의료진과 장비 등 의료인프라와 응급구조인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뇌졸중 초기 환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제때 응급처치를 받지 못해 오히려 상태가 더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7년 발표된 아시아 각국의 뇌졸중 실태 비교연구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뇌졸중 사망자 수가 △일본 43.4명, △대만 56.8명, △싱가폴47.9명인 반면 우리나라는 77.4명으로 상당히 높다. 강기윤 의원은“뇌졸중은 신속하게 치료하지 못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고 제때 응급처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길 위험이 있는 반면, 초기 증상이 뚜렷해 홍보·교육을 통해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초기 응급처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실제 한 전문의료진은“뇌졸중으로 쓰러진 환자에게 주어진 골든타임은 단 6시간이며, 6시간 안에 응급시술까지 모두 이뤄져야 하지만, 국내 뇌졸중 환자 45%가 증상 발생 후 6시간이 지난 뒤 응급실에 도착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한 바도 있다. 이에 강기윤 의원은“현재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뇌졸중 환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생명과 직결된 만큼 초기 응급처치가 잘 이뤄질 수 있게 뇌졸중 홍보예산을 편성하고 적극적인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강기윤의원은“겨울철은 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계절로 갑자기 뇌졸중이 나타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질본, 흡연․뇌졸중․당뇨병 “코로나19에 취약한 원인 밝혀냈다”
질본, 흡연․뇌졸중․당뇨병 “코로나19에 취약한 원인 밝혀냈다”
(사진=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캡처) [선데이뉴스신문]=곽중희 기자] 질병관리본부가 흡연자, 당뇨병․뇌졸중 환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체적 원인을 밝혀냈다. 20일 질병관리본부는 담배연기 및 뇌졸중, 당뇨병에 의해 세포 내 코로나19의 수용체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질본은 “코로나19는 표면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을 ACE2에 결합시켜 세포 내로 침투하고 증폭한다”고 하며 “이는 흡연자 및 뇌졸중, 당뇨병 환자는 이 ACE2의 결합이 더 잘 일어나 상대적으로 코로나19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투과정에서 세포표면 ACE2가 감소돼 인체 내 안지오텐신2가 증가하고 혈압상승으로 이어져 병이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과거 고령자, 만성질환자, 흡연자를 코로나19 취약계층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감염됐을 시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한 것을 정면으로 뒷받침 해주는 연구결과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 원장은 이번 연구가 “코로나19 고위험군인 당뇨, 뇌졸중 등 기저질환자 및 흡연자가 코로나19에 더 취약했던 원인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며 “이번 연구 결과는 흡연자뿐만 아니라 당뇨, 뇌졸중을 겪고 있을 경우 세포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수용체(ACE2)가 증가해 감염 시 더 큰 위험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어 “이에 상기 기저 질환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금연, 사회적 거리 두기 수칙 준수 등의 예방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연구를 계기로 코로나19의 고위험군 관련 후속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