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24건 ]
중국 경제보복 장기화..."사드 보복 여파 농식품 수출 감소 심화"
중국 경제보복 장기화..."사드 보복 여파 농식품 수출 감소 심화"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한반도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DD) 배치 여파로 중국의 경제보복이 장기화하면서 농식품 수출 감소세도 심화하고 있다. 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달 중국으로의 농림수산식품 수출액은 1억1천100만 달러(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달(1억2천500만 달러)보다 11.2% 감소했다고 밝혔다. 대(對)중 농림수산식품 수출은 3월까지는 3.6% 증가했지만, 4월부터 9.9% 줄어들면서 하락세로 돌아선 후 5월 -17.3%, 6월 -11.3% 등으로 두자릿수 감소세를 3개월째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1∼7월 수출액도 7억3천500만 달러로, 6.5%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으로의 수출 호조를 보였던 주요 품목의 부진이 누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으로 올해 7월까지 대중 분유 수출액은 3만1천 달러로, 35.4% 급감했고, 음료(2만4천 달러), 커피조제품(1만 달러)수출도 각각 19%, 47.4% 줄었다. 다만 김(5만8천 달러, 56.2%↑), 라면(4만8천 달러, 58.6%↑), 맥주(2만4천 달러, 106.1%↑) 등은 선전했다. 문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중국으로의 수출 부진이 전체 수출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으로 꼽고있다. 올해 1∼7월 전체 농림수산식품 수출액은 51억7천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긴 했지만 대중 수출 부진 여파로 4월까지 두 자릿수였던 누적 수출증가율이 5월 한 자릿수(8.8%)로 전환한 후 줄곧 하락세이다. 앞서 지난달 중순 농식품부는 수출 여건이 악화된 중국시장에서 새로운 판로를 찾겠다며 맞춤형 유망상품 발굴 등을 골자로 한 '대 중국 농식품 수출 확대 신전략'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대응해 정부가 사드 발사대를 추가 임시배치하기로 하면서 이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추가 수출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상반기 주택 거래량 소폭 감소...1년전보다 2.1% 감소(48만8천 건)
상반기 주택 거래량 소폭 감소...1년전보다 2.1% 감소(48만8천 건)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올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부동산시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매매 거래량은 줄고, 전월세 거래량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수도권 매매거래 감소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강남·송파·서초·강동구 등 서울 강남4구의 주택매매 거래는 오히려 6%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주택매매 거래는 올해 상반기 기준 45만8000건으로 전년동기(46만8000건) 대비 1만건(2.1%) 감소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전월세 거래는 87만4000건으로 전년동기(84만1000건) 대비 3만3000건(3.9%)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역별 주택매매 거래량을 보면, 올해 수도권 거래는 23만6148건으로 지고 난해(24만1893건)보다 5745건(2.4%) 줄어, 전국 감소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서울지역 주택거래는 지난해 9만174건에서 올해 8만9652건으로 522건(0.6%) 감소해, 수도권지역 거래감소 추세를 경기·인천지역이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서울지역에서도 강남·송파·서초·강동구 등 강남4구는 오히려 6% 증가했다. 지방의 경우 지난해 22만5766건에서 올해 22만1610으로 4156건(1.8%)이 줄었다. 대부분 시도의 거래량이 감소한 가운데 세종(74.3%)과 대구(23.1%), 광주(20.5%)에서의 거래량은 큰폭으로 증가했다.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의 경우 수도권은 57만6598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5.5% 증가했으며, 이중 서울지역 거래는 28만5483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7.8% 증가다. 특히 강남4구는 전년동기 대비 10.0% 증가했다. 지방은 29만7151건으로 1.0% 증가했다. 제주도가 10.2%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충북(6.8%), 강원(5.9%), 대전(5.1%), 부산(4.8%)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주택매매 거래가 급증했던 세종시에서 전월세 거래는 15.7% 감소했다. 이같이 주택거래량이 줄은것에 대해 지난해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대출 규제와 금리상승에 따른 관망세 등이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상반기 우리나라 입국 탈북민 21% 감소...국경 단속강화와 생계형 탈북 줄어
상반기 우리나라 입국 탈북민 21% 감소...국경 단속강화와 생계형 탈북 줄어
[선데이뉴스신문=전주명 기자]올해 상반기에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감소했다. 북한 당국의 국경 단속 강화와 생계형 탈북이 줄어든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일부는 올 들어 6월 말까지 입국한 탈북민이 59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49명 보다 21%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에 들어 온 탈북민은 지난 2011년 말 북한에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 크게 줄었다. 2011년 2천706명에서 2012년 1천502명으로 급감했고, 2015년에는 1천275명까지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1천418명으로 조금 늘어났지만 올 들어 다시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통일부는 이런 감소세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권을 물려받은 이후 체제 유지 차원에서 탈북을 차단하려는 통제를 부쩍 강화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통일부 이덕행 대변인은 12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탈북민 감소에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북한 내부 요인이 주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이 발간한 ‘북한인권백서 2017’은 북한 당국의 단속 강화 사례로 지난 2015년 8월부터 국경경비대 초소를 중심으로 고압전선을 설치한 조치를 꼽았다. 또 탈북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 비법국경출입죄를 사면이 적용되지 않는 죄로 새롭게 분류해 처벌의 강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한국 내 탈북민 지원단체 ‘북한정의연대’의 정베드로 대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경 통제 강화를 지시하면서 탈북민들이 중국 쪽으로 탈출하는 데 드는 이른바 ‘도강비용’이 미화로 1만 달러를 넘어설 정도로 높아져 탈북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올 상반기 한국에 들어온 탈북민 중 여성이 차지한 비율은 85%에 달했다. 탈북민 중 여성의 비율은 2006년 70%를 돌파한 이래 2015년 80%까지 늘어나는 등 지속적으로 높은 비중을 유지했다.
5월말 전국 미분양 56,859호, 전월대비 5.7% (3,454호) 감소
5월말 전국 미분양 56,859호, 전월대비 5.7% (3,454호) 감소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국토교통부(장관:김현미)는 27일 5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60,313호)대비 5.7%(3,454호) 감소한 총 56,859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17.2월 61,063호 → `17.3월 61,679호 → `17.4월 60,313호 → `17.5월 56,859호> 국토부에 따르면 준공후 미분양은 5월말 기준으로 전월(9,587호)대비 5.1%(487호) 증가한 총 10,074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은 15,235호로, 전월(17,169호) 대비 11.3%(1,934호) 감소하였고, 지방은 41,624호로, 전월(43,144호) 대비 3.5%(1,520호) 감소하였다. 신규 등 증가분은 ‘17.4월 4,931호→ ‘17.5월 997호(수도권 52호, 지방 945호)이며 기존 미분양 해소분은 ‘17.4월 6,297호 → ‘17.5월 4,451호(수도권 1,986호, 지방 2,465호)로 나타났다. 한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6,429호)대비 348호 감소한 6,081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53,884호) 대비 3,106호 감소한 50,778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주택매매거래량 7.5만 건 12.7% 감소...전.월세 0.5% 감소
주택매매거래량 7.5만 건 12.7% 감소...전.월세 0.5% 감소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국토교통부(장관:강호인)는 ’17.4월 주택매매거래량은 75,381건으로 대출규제 등 주택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년동월(8.6만건) 및 5년 평균(8.9만건) 대비 감소하였으며, <4월 거래량(만건):('11)9.2→('12)6.8→('13)8.0→('14)9.3→('15)12.0→('16)8.6→('17)7.5> 봄 이사철 마무리 등의 영향으로 전월(7.7만건) 대비로도 소폭 감소(2.5%)하였다고 밝혔다. 2017년 1월 부터 4월까지 누계 주택매매거래량은 27.5만건으로, 전년(28.6만건) 및 5년 평균(28.7만건) 대비 다소 소폭(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17.4월 수도권 거래량(39,467건)은 전년동월 대비 9.2% 감소, 지방(35,914건)은 16.2% 감소하였으며, ‘17.1~4월 누계기준, 수도권 거래량(131,804건)은 전년동기 대비 5.6% 감소, 지방(142,910건)은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17.4월 아파트 거래량(46,811건)은 전년동월 대비 14.7%, 연립․다세대(16,890건)는 8.7%, 단독․다가구 주택(11,680건)은 9.6% 각각 감소하였으며, ‘17.1~4월 누계기준, 아파트 거래량(135,717건)은 전년동기 대비 4.6%, 단독‧다가구(33,493건)는 2.0% 각각 감소하였으나, 연립‧다세대(46,965건)는 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매매거래량 및 실거래가 등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17.4월 전월세 거래량은 134,383건으로, 봄 이사철 종료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19.7% 감소하였으며, ‘17.1~4월 누계기준으로는 60.2만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5.3%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17.4월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비중은 43.3%로, 전월(45.3%) 대비 소폭 (2.0%p) 감소하였으나, 전년동월(42.9%) 대비 소폭(0.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17.4월 수도권 거래량(89,339건)은 전년동월 대비 0.2% 감소, 지방(45,044건)은 1.0% 감소하였다. 유형별로는 ‘17.4월 아파트 거래량(58,930건)은 전년동월 대비 1.4% 감소, 아파트 외(75,453건)는 0.2% 증가하였다. 임차유형별로는 ‘17.4월 전세 거래량(76,178건)은 전년동월 대비 1.1% 감소, 월세(58,205건)는 0.4% 증가하였다. 한편 누계 월세비중은 ‘17.1~4월 누계기준,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비중은 44.0%로 전년동기 대비 소폭(0.3%p) 감소하였다. 전월세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정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홈페이지(rt.molit.g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7.7만 건..."전년동월 대비 0.7% 감소"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7.7만 건..."전년동월 대비 0.7% 감소"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국토교통부(장관:강호인)는 2017년 3월 주택매매거래량은 77,310건으로 대출규제 및 금리상승에 대한 부담 등 주택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년동월(7.8만건) 및 5년평균(8.3만건) 대비 일부 감소하였으나, 봄철 이사 수요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63,484건) 대비로는 21.8% 증가하였다고 18일 밝혔다. <3월 거래량(만건):('11)9.6→('12)6.8→('13)6.7→('14)9.0→('15)11.2→('16)7.8→('17)7.7> 1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누계 주택매매거래량은 19.9만건으로, 전년(19.9만건) 및 5년평균(19.8만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17.3월 수도권 거래량(37,836건)은 전년동월 대비 1.2% 감소, 지방(39,474건)은 0.2% 감소하였으며, ‘17.1~3월 누계기준, 수도권 거래량(92,337건)은 전년동기 대비 3.9% 감소, 지방(106,996건)은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별로는 ‘17.3월 아파트 거래량(48,470건)은 전년동월 대비 1.4% 감소, 연립·다세대(16,761건)는 0.9%, 단독·다가구 주택(12,079건)은 0.2% 각각 증가하였으며, ‘17.1~3월 누계기준, 아파트 거래량(126,992건)은 전년동기 대비 0.1%, 단독·다가구(31,146건)는 1.2% 각각 감소, 연립·다세대(41,195건)는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매매거래량 및 실거래가 등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 1분기 276명"...지난해 비해 18.7% 감소
"북한이탈주민 1분기 276명"...지난해 비해 18.7% 감소
[선데이뉴스신문=정성남 기자]올해 1분기 동안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 들어온 탈북민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는 5일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은 총 278명(잠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2명)에 비해 18.7%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정은 집권 이후 가장 탈북민이 적었던 2015년 1∼3월(291명)보다도 적은 수치다. 통일연구원에 따르면 탈북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감시·통제는 2015년 하반기부터 대폭 강화됐다. 북한은 지난해 탈북을 막기 위한 고압전선을 설치하고 탈북을 시도한 경우 적용되는 '비법국경출입죄'를 사면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 탈북이 자주 발생하던 양강도 삼지연군(郡)에서는 아예 국경 인근 200가구 정도를 강제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불만으로 탈북민 단속을 강화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 내 탈북민 문제에 대해 우리 외교 당국은 수시로 중국 측을 접촉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송하지 말 것을 요청해 왔는데 사드 사태가 터진 이후로는 이런 협조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실제 중국 공안은 지난 2월 말 북·중 접경 지역 등에서 활동하며 탈북민을 돕던 한국인 목사 2명을 긴급 체포했다. 한편 정부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2월에는 지난해보다 탈북민 입국 규모가 줄었지만 3월만 비교하면 늘었다"면서 "지금까지 통계만 가지고는 상황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전했다.
근로자 임금 6년 만에 감소...시간당 1만3753원
근로자 임금 6년 만에 감소...시간당 1만3753원
[선데이뉴스신문=김명균 기자]2015년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6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3일 '2016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1인 이상 사업체 임금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3753원으로 전년(1만4587원)보다 5.7%(834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간당 임금은 2009년 이후 계속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6년 만에 처음 감소했다. 시간당 임금은 2009년 1만591원에서 2010년 1만1155원, 2011년 1만1916원, 2012년 1만3145원, 2013년 1만4075원, 2014년 1만4587원으로 꾸준히 늘어왔다. 한편 성별로 보면 남자 1만5766원, 여자 1만727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5.9%(988원), 5.4%(612원) 감소했다. 여성 근로자의 임금은 남성의 68% 수준이다. 교육수준별로는 대졸의 시간당 임금이 7.9%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전문대졸(6.7%), 고졸(5.5%) 등이 뒤를 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전체 취업자는 2623만5000명으로 전년(2593만6000명)보다 29만9000명이 늘어 1.2%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15~29세 청년층 4만8000명, 50대 9만2000명, 60세 이상 22만3000명이 증가했다. 30대와 40대는 각각 3만6000명와 2만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 근로자가 1955만명으로 전체의 74.5%를 차지했다. 통계청은 이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66.4%로 전년보다 0.9%포인트 증가했고 반면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26.1%, 7.5%로 각각 0.3%포인트, 0.6%포인트 감소했다고 말했다. 또한, "비임금근로자는 전년보다 1만7000명 감소한 669만명으로 25.5%를 차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행, 2월 외환보유액 감소...달러가치 반등
한국은행, 2월 외환보유액 감소...달러가치 반등
[선데이뉴스=김명균 기자]달러 가치가 반등하면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소폭 감소했다. 지난 2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전월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0월부터 석달 연속 줄었다가 1월에 소폭 증가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한 것이다. 외환보유액 감소는 유로, 파운드 등 달러 이외 기타 통화 표시 자산을 미국 달러로 계산한 금액이 줄었기 때문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한국은행은 '2017년 2월 말 외환보유액'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한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739억1000만 달러(약 432조 61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말(3740억4000만 달러) 대비 1억3000만 달러 줄어든 수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치금은 259억6000만 달러로 3억2000만 달러 증가했다. 그러나 유가증권 보유액이 3385억 달러로 4억4000만 달러 감소했으며, 국제통화기금(IMF) 출자국의 교환성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도 17억4000만 달러로 1000만 달러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외화자산 운용 수익에도 불구하고 유로화, 파운드화 등 일부 기타 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소폭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SDR(IMF 특별인출권)은 29억2000만 달러, 금은 47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1월 기준으로 세계 외환보유고 8위 수준이다. 앞서 지난 1997년 우리나라는 외환보유액이 고갈된 바 있다. 대외거래에서 결제할 달러가 부족, 외환위기를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이후 외환보유액을 꾸준히 쌓아 2008년 말에는 2012억 달러로 증가했고 2011년 9월 3033억 달러를 보유하며 3000억 달러선을 넘었다. 현재 외환보유액 1위는 중국이다. 2조998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23억 달러 감소한 수준이지만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긴급 상황에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소의 비용과 시간으로 매매 가능한 시장성이 높은 자산으로 불리는 것으로 특히, 이는 언제든지 현금화해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정부나 중앙은행 등 통화당국이 통제가능한 대외자산을 뜻하는 것이다. 한편 1월 말 보유액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순위는 세계 8위로 전월과 변동이 없었다.
국내 소비, 금융위기 이후 첫 3개월 연속 감소
국내 소비, 금융위기 이후 첫 3개월 연속 감소
[선데이뉴스=김명균 기자]국내 소비가 2천 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최근 경기불황에다 청탁금지법으로 설날 연휴 특수가 감소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지난 1월 전체 산업생산과 소매판매가 3개월 연속 각각 증가하고 감소해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1월 산업동향’을 보면, 전산업생산은 전달 보다 1%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호조에 따른 수출부진이 완화된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11월 1.4% 증가해 3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된 뒤,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 1월 소비는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전월 대비 2.2%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같은 소비감소’는 금융위기 당시인 2천 8년 8월과 12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내수 활성화가 더뎌지면서, 최근 경기 불황을 그대로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청탁금지법 영향으로, 지난 1월 설날 특수가 예년 보다 위축된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에 따른 승용차 판매 증가, 그리고 연말 화장품 할인행사 등 기저효과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앞으로 경기국면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화변동치는 전달 보다 0.3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취업자 증가폭 감소 등으로 '확장 거시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